언어/C++

[Effective C++] 낌새만 보이면 const를 들이대 보자!

2020. 1. 3. 19:15
반응형

항목 3 : 낌새만 보이면 const를 들이대 보자!

 

const의 장점은 '의미적인 제약'을 소스 코드 수준에서 붙인다는 점과 컴파일러가 이 제약을 단단히 지켜준다는 점일 것입니다.

const 키워드는 클래스 바깥에서는 전역 혹은 네임스페이스 유효범위의 상수를 선언(정의)하는 데 쓸 수 있습니다.

그뿐 아니라 파일, 함수, 블록 유효범위에서 static으로 선언한 객체에도 const를 붙일 수 있습니다.

클래스 내부의 경우에는, 정적 멤버 및 비정적 데이터 멤버 모두를 상수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포인터에서 const는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2
const int * a = data         // 비상수 포인터, 상수 데이터 
int * const a = data         // 상수 포인터, 비상수 데이터
 

 

1
2
3
4
5
6
7
8
9
char greeting[] = "Hello";
 
char *p = greeting;                            // 비상수 포인터, 비상수 데이터
 
const char *p = greeting;                    // 비상수 포인터, 상수 데이터
 
char * const p = greeting;                    // 상수 포인터, 비상수 데이터
 
const char * const p = greeting                // 상수 포인터, 상수 데이터
 

 

const가 *의 왼쪽에 있으면 포인터가 가리키는 대상이 상수이고,

const가 *의 오른쪽에 있으면 포인터 자체가 상수입니다.

const가 *의 양쪽에 있으면 포인터가 가리키는 대상 및 포인터가 다 상수라는 뜻입니다.

 

가장 강력한 const의 용도는 함수 선언에 쓸 경우입니다. 함수 선언문에 있어서 const는 함수 반환 값, 각각의 매개변수, 멤버 함수 앞에 붙을 수 있고, 함수 전체에 대해 const의 성질을 붙일 수 있습니다.

 

멤버 함수에 붙은 const 키워드의 역할은 "해당 멤버 함수가 상수 객체에 대해 호출될 함수이다"라는 사실을 알려 주는 것입니다.

이런 함수가 중요한 이유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클래스의 인터페이스를 이해하기 좋게 하기 위해서인데, 그 클래스로 만들어진 객체를 변경할 수 있는 함수는 무엇이고, 또 변경할 수 없는 함수는 무엇인가를 사용자 측에서 알고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 이 키워드를 통해 상수 객체를 사용할 수 있게 하자는 것입니다.

 

어떤 멤버 함수가 상수 멤버라는것은 어떤 의미인가?

1. 비트수준 상수성, 물리적 상수성

2. 논리적 상수성

 

비트수준 상수성은 어떤 멤버 함수가 그 객체의 어떤 데이터 멤버도 건드리지 않아야(정적 멤버 제외) 그 멤버 함수가 'const'임을 인정하는 개념입니다.

 

논리적 상수성은 '제대로 const'로 동작하지 않는데도 비트수준 상수성 검사를 통과하는 상황을 보완하는 대체 개념으로 나오게 되었습니다.

상수 멤버 함수라고 해서 객체의 한 비트도 수정할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일부 몇 비트 정도는 바꿀 수 있되, 그것을 사용자측에서 알아채지 못하게만 하면 상수 멤버 자격이 있다는 것입니다.

 

상수 멤버 및 비상수 멤버 함수가 기능적으로 서로 똑같게 구현이 되어있을 경우에는 코드 중복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비상수 버전이 상수 버전을 호출하는 형식으로 구현하도록 합시다.

 

 

꼭 잊지 말아야 할 것!

1. const를 붙여 선언하면 컴파일러가 사용상의 에러를 잡아내는 데 도움을 준다.
2. const는 어떤 유효범위에 있는 객체에도 붙을 수 있으며, 함수 매개변수 및 반환 타입에도 붙을 수 있으며, 멤버 함수에도 붙을 수 있다.
3. 컴파일러 쪽에서 보면 비트수준 상수성을 지켜야 하지만, 사용자는 개념적인(논리적인) 상수성을 사용해서 프로그래밍 해야 한다.
4. 상수 멤버 및 비상수 멤버 함수가 기능적으로 서로 똑같게 구현되어 있을 경우에는 코드 중복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는 비상수 버전이 상수 버전을 호출하도록 만들어라.

반응형

'언어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ffective C++] 컴파일러가 만들어낸 함수가 필요 없으면 확실히 이들의 사용을 금해 버리자  (0) 2020.01.06
[Effective C++] C++가 은근슬쩍 만들어 호출해 버리는 함수들에 촉각을 세우자  (0) 2020.01.05
[Effective C++] 객체를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그 객체를 초기화하자  (0) 2020.01.04
[Effective C++] #define을 쓰려거든 const, enum, inline을 떠올리자  (0) 2020.01.02
[Effective C++] C++를 언어들의 연합체로 바라보는 안목은 필수  (0) 2020.01.01
'언어/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Effective C++] C++가 은근슬쩍 만들어 호출해 버리는 함수들에 촉각을 세우자
  • [Effective C++] 객체를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그 객체를 초기화하자
  • [Effective C++] #define을 쓰려거든 const, enum, inline을 떠올리자
  • [Effective C++] C++를 언어들의 연합체로 바라보는 안목은 필수
지나가던 개발자
지나가던 개발자
지나가던 개발자
나의 발전을 위한 공간
지나가던 개발자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21)
    • 언어 (86)
      • C++ (43)
      • JAVA (43)
    • 게임 개발 (4)
      • 간단한 RPG 게임 만들기 (4)
      • 게임 개발 이슈 해결 (0)
    • 백준 문제풀이 (36)
      • PLATINUM (0)
      • GOLD (13)
      • SILVER (21)
      • BRONZE (2)
    • 프로그래머스 문제풀이 (32)
      • LEVEL 5 (0)
      • LEVEL 4 (0)
      • LEVEL 3 (7)
      • LEVEL 2 (19)
      • LEVEL 1 (6)
    • SQL 문제풀이 (15)
      • 프로그래머스 (4)
      • 해커랭크 (11)
    • 디자인 패턴 (1)
    • 웹 (17)
      • 웹 이론 정리 (17)
    • CS 지식 (28)
      • 알고리즘 (0)
      • 데이터베이스 (11)
      • 자료구조 (0)
      • 네트워크 (7)
      • 그래픽스 (0)
      • 운영체제 (9)
      • 기타 (1)
    • Git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깃 허브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열거 타입과 애너테이션
  • Gold 5
  • Level 2
  • Chapter 6
  • 해커랭크
  • BOJ
  • mysql
  •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 소멸자 및 대입 연산자
  • java
  • level 1
  • 설계 및 선언
  • 상속
  • 객체 지향 설계
  • Silver 3
  • 객체 생성과 파괴
  • 백준
  • Chapter 4
  • 프로그래머스
  • c++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지나가던 개발자
[Effective C++] 낌새만 보이면 const를 들이대 보자!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