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C++

[Effective C++] 상속된 이름을 숨기는 일은 피하자

2020. 2. 2. 11:15
반응형

항목 33 : 상속된 이름을 숨기는 일은 피하자

 

1
2
3
4
5
6
7
8
int x                // 전역 변수
 
void someFunc()
{
    double x;        // 지역 변수
 
    std::cin>>x;    // 입력을 받아, 지역 변수 x에 새 값을 읽어 넣습니다.    
}
Colored by Color Scripter
 

 

-------------------------------------------------------------------------------------

|  전역 유효 범위                                                                   |

|        X                                                                                         |

|                                                 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someFunc의 유효범위  |

|                                                 |                                                 |

|                                                 |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class Base {
private :
    int x;
 
public :
    virtual void mf1() = 0;
    virtual void mf1(int);
    virtual void mf2();
 
    void mf3();
    void mf3(double);
    ...
};
 
class Derived:public Base {
public :
    virtual void mf1();
    void mf3();
    void mf4();
    ...
};
 

 

기본 클래스에 있는 함수들 중에 mf1 및 mf3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모두 파생 클래스에 들어 있는 mf1 및 mf3에 의해 가려지고 맙니다. 이름 탐색의 시점에서 보면, Base::mf1과 Base::mf3은 Derived가 상속한 것이 아니게 된다는 것입니다.

 

1
2
3
4
5
6
7
8
9
10
Derived d;
int x;
...
d.mf1;                // Derived::mf1을 호출합니다.
d.mf1(X);            // 에러입니다. Derived::mf1이 Base::mf1을 가립니다.
 
d.mf2();            // Base::mf2를 호출합니다.
 
d.mf3();            // Derived::mf3을 호출합니다.
d.mf3(x);            // 에러입니다. Derived::mf3이 Base::mf3을 가립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class Base {
private :
    int x;
 
public :
    virtual void mf1() = 0;
    virtual void mf1(int);
    virtual void mf2();
 
    void mf3();
    void mf3(double);
    ...
};
 
class Derived:public Base {
public :
    using Base::mf1                // Base에 있는 것들 중 mf1과 mf3을 아름으로 가진 것들을    
    using Base::mf3                // Derived의 유효범위에서 볼 수 있도록(또 public 멤버로) 만듭니다.
 
    virtual void mf1();
    void mf3();
    void mf4();
    ...
};
Colored by Color Scripter
 

 

이제 우리가 예상했던 대로 돌아가는 상속이 되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Derived d;
int x;
...
d.mf1;                    // Derived::mf1을 호출합니다.
d.mf1(X);                // Base::mf1을 호출합니다.
 
d.mf2();                // Base::mf2를 호출합니다.
 
d.mf3();                // Derived::mf3을 호출합니다.
d.mf3(x);                // Base::mf3을 니다.
 

 

어떤 기본 클래스로부터 상속을 받으려고 하는데, 오버로드된 함수가 그 클래스에 들어 있고 이 함수들 중 몇 개만 재정의(다른 말로 오버라이드)하고 싶다면, 각 이름에 대해 using 선언을 붙여 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본 클래스가 가진 함수를 전부 상속했으면 하는 것이 아닌 경우도 있긴 합니다. 물론 이 경우와 public 상속은 함께 놓고 생각하지 말아야 합니다. 기본 클래스와 파생 클래스의 is-a 관계가 깨져 버리기 때문이죠.

하지만 private 상속을 사용한다면 이 경우가 말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Derived가 Base로부터 private 상속이 이루어졌다고 가정합시다. 그리고 Derived가 상속했으면 하는 mf1 함수는 매개변수가 없는 버전 하나밖에 없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때는 using 선언으로 해결할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using 선언을 내리면 그 이름에 해당되는 것들이 모두 파생 클래스로 내려가 버리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법이 필요한 상황인 것이죠.

그 기법이란, 간단한 전달 함수를 만들어 놓는 것입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class Base {
public :
    virtual void mf1() = 0;
    virtual void mf1(int);
    ...
};
 
class Derived : private Base {
public :
    virtual void mf1()                // 전달 함수입니다. 암시적으로 인라인 함수가 됩니다.
    {
        Base::mf1();
    }
    ...
};
 
...
Derived d;
int x;
 
d.mf1();                            // Derived::mf1(매개변수 없는 버전)을 호출합니다.
 
d.mf1(x);                            // 에러입니다! Base::mf1()은 가려져 있습니다.
 

 

꼭 잊지 말아야 할 것!

1. 파생 클래스의 이름은 기본 클래스의 이름을 가립니다. public 상속에서는 이런 이름 가림 현상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2. 가려진 이름을 다시 볼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using 선언 혹은 전달 함수를 쓸 수 있습니다.

반응형

'언어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Effective C++] 가상 함수 대신 쓸 것들도 생각해 두는 자세를 시시때때로 길러 두자  (0) 2020.02.04
[Effective C++] 인터페이스 상속과 구현 상속의 차이를 제대로 파악하고 구별하자  (0) 2020.02.03
[Effective C++] public 상속 모형은 반드시 "is-a(...는 ...의 일종이다)"를 따르도록 만들자  (0) 2020.02.01
[Effective C++] 파일 사이의 컴파일 의존성을 최대로 줄이자  (0) 2020.01.31
[Effective C++] 인라인 함수는 미주알고주알 따져서 이해해 두자  (0) 2020.01.30
'언어/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Effective C++] 가상 함수 대신 쓸 것들도 생각해 두는 자세를 시시때때로 길러 두자
  • [Effective C++] 인터페이스 상속과 구현 상속의 차이를 제대로 파악하고 구별하자
  • [Effective C++] public 상속 모형은 반드시 "is-a(...는 ...의 일종이다)"를 따르도록 만들자
  • [Effective C++] 파일 사이의 컴파일 의존성을 최대로 줄이자
지나가던 개발자
지나가던 개발자
지나가던 개발자
나의 발전을 위한 공간
지나가던 개발자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21)
    • 언어 (86)
      • C++ (43)
      • JAVA (43)
    • 게임 개발 (4)
      • 간단한 RPG 게임 만들기 (4)
      • 게임 개발 이슈 해결 (0)
    • 백준 문제풀이 (36)
      • PLATINUM (0)
      • GOLD (13)
      • SILVER (21)
      • BRONZE (2)
    • 프로그래머스 문제풀이 (32)
      • LEVEL 5 (0)
      • LEVEL 4 (0)
      • LEVEL 3 (7)
      • LEVEL 2 (19)
      • LEVEL 1 (6)
    • SQL 문제풀이 (15)
      • 프로그래머스 (4)
      • 해커랭크 (11)
    • 디자인 패턴 (1)
    • 웹 (17)
      • 웹 이론 정리 (17)
    • CS 지식 (28)
      • 알고리즘 (0)
      • 데이터베이스 (11)
      • 자료구조 (0)
      • 네트워크 (7)
      • 그래픽스 (0)
      • 운영체제 (9)
      • 기타 (1)
    • Git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깃 허브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백준
  • Silver 3
  • java
  •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 Chapter 6
  • BOJ
  • 해커랭크
  • 상속
  • 열거 타입과 애너테이션
  • mysql
  • level 1
  • 소멸자 및 대입 연산자
  • c++
  • Chapter 4
  • Gold 5
  • 객체 생성과 파괴
  • Level 2
  • 객체 지향 설계
  • 설계 및 선언
  • 프로그래머스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지나가던 개발자
[Effective C++] 상속된 이름을 숨기는 일은 피하자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