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지식/네트워크
[네트워크] OSI 5계층 프로토콜 정리
지나가던 개발자
2023. 3. 2. 11:33
반응형
OSI 5계층(세션 계층) 프로토콜 정리
ADSP
AppleTalk Data Stream Protocol 의 약자로 애플에서 애플컴퓨터들을 위해 만들어낸 일련의 근거리통신망 프로토콜들로써, 하나의 완전한 프로토콜 세트를 이루고 있습니다.
ASP
AppleTalk Session Protocol 의 약자로 ATP(AppleTalk Transaction Protocol)를 사용해 세션 설정, 유지, 해제, 요청 시퀀스 처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 각 세션별로 단일 세션 식별자를 지정하여
ASP 세션을 설정하며, 클라이언트는 세션을 개시하고 명령을 내리며, 서버는 명령에 대응하는 비대칭 프로토콜 입니다.
H.245
H.324는 일반 전화망을 이용한 영상 전화 및 회의용 터미널 시스템 규약이며, H.245는 H.324 기반 터미널 양단이 통신을 시작 하거나 끝내기 위해 교환하는 제어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로써, H.324 시스템의 제어 프로토콜의 역할을 담당한다.
ISO-SP
OSI session-layer protocol (X.225, ISO 8327)
iSNS
iSNS(Internet Storage Name Service) 프로토콜은 TCP/IP 네트워크에서 iSCSI 및 파이버 채널 장치(iFCP 게이트웨이 사용)의 자동 검색, 관리 및 구성을 허용합니다.
L2F
L2F(Layer Two Forwarding)는 안전한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해 가상 전화 접속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Cisco 터널링 프로토콜입니다. L2F 기능은 Microsoft가 주도하는 PPTP Forum에서 개발한 PPTP(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와 유사합니다. L2F는 L2TP(계층 2 터널링 프로토콜) 표준(RFC 2661)의 일부입니다.
L2TP
L2TP(Layer Two Tunneling Protocol)는 VPN(가상 사설망)을 활성화하기 위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가 사용하는 지점간 터널링 프로토콜(PPTP)의 확장입니다. 보안과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해 암호화 프로토콜에 의존해야 합니다.
NetBIOS
NetBIOS는 Network Basic Input/Output System의 약자입니다. OSI 모델의 세션 계층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별도의 컴퓨터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LAN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합니다.
PAP
비밀번호 인증 프로토콜(영어: Password authentication protocol, PAP)은 암호를 사용하는 인증 프로토콜이다.
PAP는 사용자들에게 서버 자원으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이전에 점대점 프로토콜을 통해 이 사용자들을 확인한다. 거의 모든 네트워크 운영 체제들의 원격 서버들은 PAP를 지원한다.
PAP는 암호화되지 않은 ASCII 암호를 네트워크 상으로 전달하므로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원격 서버가 CHAP, EAP(후자는 실제로 프레임워크임.) 따위의 더 강력한 인증 프로토콜을 지원하지 않을 때 마지막으로 사용한다.
PPTP
점대점 터널링 프로토콜, 포인트 투 포인트 터널링 프로토콜(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PPTP), 점대점 터널링 통신 규약은 가상사설망 구현을 위한 구식 방식이다. PPTP는 잘 알려진 보안 문제들이 다수 있다.
PPTP는 TCP 컨트롤 채널과 일반 라우팅 캡슐화 터널을 사용하여 PPP 패킷을 캡슐화한다. 현대의 수많은 VPN들은 다양한 형태의 UDP를 사용하여 이와 같은 기능을 한다.
PPTP 사양은 암호화나 인증 기능을 기술하지 않으며 보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터널링되는 점대점 프로토콜에 의존한다.
RPC
RPC(Remote Procedure call)이란, 별도의 원격 제어를 위한 코딩 없이 다른 주소 공간에서 리모트의 함수나 프로시저를 실행 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세스간 통신입니다. 즉, 위치에 상관없이 RPC를 통해 개발자는 위치에 상관없이 원하는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RTCP
RTCP(RTP Control Protocol)는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의 자매 프로토콜이다. 기본 기능과 패킷 구조는 "RFC 3550"에 정의되어 있다. RTCP는 RTP 세션의 대역 외(out-of-band) 통계 및 제어 정보를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달, 패키징 시에 RTP와 함께 사용하지만 RTCP가 직접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지는 않는다.
RTCP의 주 기능은 미디어 배급 시 전송되는 옥텟 및 패킷 카운트, 패킷 손실, 패킷 지연 변화, 왕복 지연 시간 등의 통계 정보를 스트리밍 멀티미디어 세션 참여자들에게 주기적으로 보냄으로써 QoS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은 이 정보를 사용하여 흐름을 제한하거나 다른 코덱을 사용하는 일 등을 수행함으로써 QoS 변수를 통제할 수 있다.
SMPP
SMPP(Short Message Peer-to-Peer) 프로토콜은 ESME(External Short Message Entities), RE(Routing Entity) 및 메시지 간의 짧은 메시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유연한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개방형 산업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SCP
SCP 프로토콜은 BSD RCP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로서, 네트워크 상의 호스트 간의 파일 전송을 지원한다.
SOCKS
SOCKS는 서버-클라이언트 간의 TCP나 UDP 통신을 프록시 서버를 거쳐 진행하도록 해 주는 프로토콜이다.
SOCKS는 버전 4a와 5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버전 5는 RFC 1928에 정의되어 있다.
ZIP
ZIP(Zone Information Protocol)는 영역 이름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있는 애플리케이션 및 프로세스를 제공합니다.
영역은 AppleTalk 인터넷에 있는 노드의 논리적 그룹이며 각 영역은 이름으로 식별됩니다. 영역 이름은 일반적으로 조직 내의 특정 부서에 속하는 노드 그룹과 같은 노드 그룹 간의 소속을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SDP
세션 기술 프로토콜(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은 스트리밍 미디어의 초기화 인수를 기술하기 위한 포맷이다. 이 규격은 IETF의 RFC 4566로 규정되어 있다.
SDP는 세션 공지, 세션 초대, 그리고 그 밖의 멀티미디어 세션 초기화를 위한 폼들을 목적으로 멀티미디어 세션들의 기술을 위해 작성되었다. SDP는 미디어 폼의 콘텐츠 그 자체를 위해서 제공된 것은 아니지만, 양 끝단 간에 미디어 타입과 포맷에 대해 협상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서 SDP는 새롭게 추가되는 미디어 타입과 포맷을 지원할 수 있으며, 앞으로 나올 기술에 대한 호환성을 시스템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SDP는 Session Announcement Protocol (SAP)의 한 부분으로 시작되었지만, RTP, RTSP, SIP와 멀티캐스트 세션을 기술하기 위한 단독 포맷 등의 결합을 위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반응형